충칭 Qingcheng 농업 과학 기술 유한 회사
+8613983113012

무토양 재배를 위한 기질 선택 방법

Jan 03, 2023

무토양 재배를 위한 기질 선택 방법

 

무토양 경작을 위한 많은 기질이 있으며, 모두 다양한 장소의 조건에 따라 발굴되고 선택됩니다. 여기에 언급된 기질의 유형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기질을 말하며 참고용입니다.

 

1. 유형

 

기질의 분류는 기질의 형태, 조성, 모양 등에 근거한다. 다음은 Teruo Ikeda의 분류 체계에서 수정된 무토양 기질의 분류 체계입니다.

이 시스템에서 무기 매트릭스와 유기 매트릭스는 혼합 매트릭스에 대응하기 위해 단일 매트릭스로 통칭된다.

 

2. 다양한 무토양 배양기질의 특성

 

기질의 특성은 주로 재배 식물과 관련된 물리적 및 화학적 특성을 나타냅니다. 물리적 특성에는 용량, 공극률, 공극 크기 비율, 입자 크기 등이 포함됩니다.

화학적 특성에는 화학적 안정성, 산도 및 알칼리도, 양이온 치환 능력, 완충 능력, 전도도 등이 포함됩니다. 때로는 식물 생활 활동에서 기질, 특히 물의 중요한 기능을 포함하기도 합니다.

 

(1) 물

①물의 역할 물은 생명의 근원이다. 식물 생활 활동에서 물의 중요한 역할은 주로 다음과 같은 측면을 포함합니다.

첫째, 물은 원형질의 중요한 구성 요소입니다.

둘째, 물은 유기물의 광합성과 가수분해의 원료이다.

셋째, 물은 생화학 반응의 용매이자 매개체입니다.

넷째, 물은 식물 고유의 자세를 유지하는데 이는 식물이 세포분열, 생장 및 분화, 기체교환, 빛에너지의 이용 등 다양한 생리활동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조건이다.

다섯째, 잎의 기공을 통해 물이 증발하여 식물 내부의 온도를 낮추고 더운 날씨에 상대적으로 일정한 체온을 유지합니다.

② 무토양재배의 기질로서의 물의 특성 물은 눈에 보이지 않고 무미의 투명한 액체이며 많은 물질에 매우 좋은 용매이다. 이 때문에 무토양 배양기질로서의 물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ㅏ. 물과 비료는 충분하지만 산소는 제한적 식물 성장에 필요한 각종 영양소를 물에 녹여 식물이 쉽게 흡수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물의 산소 함량은 식물 뿌리의 호흡 요구를 충족시킬 수 없습니다. 따라서 물의 용존산소량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물을 인위적으로 부풀리거나 공기와 접하도록 유동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비. 물의 수소이온농도(pH)는 조절하기 쉽지만 뿌리 삼출물이 쌓이기 쉽습니다. 물은 염산이나 아세트산으로 수소이온(산)의 농도를 높이고, 수산화나트륨이나 수산화칼륨으로 수산화이온(알칼리)의 농도를 높일 수 있다. 농도가 증가합니다.

물의 수소 이온 농도를 조절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산 또는 알칼리의 농도는 0.1몰/리터입니다.

수경 재배 배지의 뿌리 시스템은 한편으로는 물 속의 영양분을 흡수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일부 유기물을 물로 배출하여 물에 축적합니다. 이러한 유기물의 상당 부분은 토양에서 오랫동안 자라는 식물에 의해 형성된 습관성 삼출물입니다. 이러한 종류의 물질의 기능은 주로 토양의 뿌리에서 쉽게 흡수되지 않는 영양분을 용해하거나 복합화하는 것입니다. 독소와 같은 뿌리 시스템의 일부 "폐기물"은 토양에서 상응하는 공간 분포를 가지며 뿌리 시스템의 정상적인 흡수 기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물기질에서는 뿌리계에 의해 다시 체내로 빨려 들어가기 쉽기 때문에 반복적인 흡수와 배설, 재흡수와 재배설의 악순환은 뿌리계의 정상적인 성장과 정상적인 생리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기능. 해결책은 양액을 자주 교체하거나 양액을 순환시키는 것이다.

 

씨. 양분은 뿌리 계통과 밀접하게 접촉하여 뿌리 계통에 쉽게 흡수되지만 뿌리 계통이 양분을 흡수하기 위해 식물을 고정하지 못하는 두 가지 주요 조건이 있습니다. 하나는 뿌리 시스템이 양분 위치까지 능동적으로 확장되어 양분과 접촉한다는 것입니다. 루트 시스템의 동작에 따라 루트 시스템 주위를 이동하고 루트 시스템에 닿습니다. 뿌리 시스템은 영양 용액에 매달려 있으며 영양소는 빈번한 신체 움직임 중에 쉽게 뿌리 시스템에 도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용액의 양분 농도가 매우 낮더라도 거시원소의 농도가 마이크로몰 수준에 도달하면 뿌리 시스템에 쉽게 흡수되며 심지어 식물은 이 양분 용액에서 가장 빨리 자랍니다. 그러나 영양 용액은 식물의 거대한 몸체를 지탱할 수 없습니다. 식물의 무게가 양액의 물의 부력을 초과하는 한 식물은 필연적으로 가라앉게 됩니다. 식물을 고정하기 위해 누군가는 격자를 사용하여 식물을 지지하고 뿌리가 격자의 그물망을 통과하여 영양 용액으로 들어갈 수 있도록 합니다. 식물이 자란 후에는 뿌리 조직이 길어지고 양액에서 적절한 물-공기 비율을 얻을 수 없습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식물을 지지하는 격자와 영양액이 들어 있는 통 사이에 일부 지지대를 배치하고 점차 높이를 높일 수 있습니다. 루트 시스템의 팁 부분은 항상 양분 용액에, 나머지 부분은 액체 표면과 그리드 사이에 만듭니다. 공간의 이 부분에 있는 수증기는 상대적으로 커서 뿌리 시스템의 물과 가스의 비율 요구 사항을 충족할 수 있습니다.

 

(2) 안개

 

수질 기질의 주요 문제는 통기 불량입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양분 수용액을 미스트에 뿌리고 뿌리 조직을 이 양분과 함께 공간에 부유시키는 것입니다. 적절한 수증기와 영양분이 뿌리 시스템 주변에 도달할 수 있으며 동시에 뿌리 시스템 주변의 통기 조건이 완전히 충족될 수 있습니다. 이 영양 미스트 방식은 뿌리 계통의 수분, 영양분, 가스의 비율을 맞추는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할 수 있으며,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공식적으로 사용되지 않고 있습니다.

 

(3) 모래

 

모래는 무토양 재배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기질입니다. 특히 사막 지역은 선택의 여지가 없는 유일한 기질이다.

무토양 경작 기질인 모래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습니다.

① 일정한 수분 함량 모래에 아무리 많은 물을 부어도 주변 배수가 좋으면 과도한 물이 빠르게 스며 나와 해당 수분 함량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물을 주든 안 주든 상관없이 모래 바닥에 충분한 물이 있는 한 사이펀 작용을 통해 물이 상대적으로 높은 부분에 도달하고 적절한 수분 함량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모래의 수분 함량은 입자 크기에 따라 달라지며 모래 입자 직경은 0.06-2 mm입니다. 입자가 미세할수록 수분 함량이 높지만 일반적으로 모래는 쉽게 배수됩니다.

②물과 비료 보유력이 없고 통기성이 좋다 모래는 광물성으로 조직이 치밀하고 기공이 거의 없으며 모래 알갱이 표면에 물을 머금고 있어 물의 유동성이 크고 물에 용해된 영양분은 손실과 함께 쉽게 유실된다. 물의 . 모래의 물과 영양분이 손실된 후 입자 사이의 공극은 공기로 채워집니다. 점토 광물에 비해 모래는 통기성이 좋습니다.

③ 일정량의 칼륨비료를 주며 수소이온농도는 모래질에 영향을 받는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모래에는 칼륨 함유 무기 물질이 포함되어 있어 천천히 용해되어 소량의 칼륨 비료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일부 식물의 뿌리조차도 약간의 유기물을 분비할 수 있으며, 이는 뿌리에 흡수될 수 있도록 모래에 칼륨을 용해하거나 킬레이트화합니다. 모래에서 자랄 수 있는 식물은 일반적으로 칼륨이 부족하지 않습니다.

일부 모래는 석회질 광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모래의 수소 이온 농도는 100nmol/리터(pH 7보다 큼) 미만입니다. 변형되지 않으면 일반 식물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수정된 방법은 영양액의 수소이온농도를 조절하여 해결할 수 있다. 강둑 충적토지의 모래나 풍토지의 모래를 이용하는 것이 가장 좋다.

④ 무거운 모래는 고층 건물의 무토양 경작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풀뿌리 심기에 대한 풍부한 공급원, 저렴한 비용 및 경제적 이점으로 인해 여전히 토양이 없는 이상적인 재배 기질입니다.

⑤안전하고 위생적인 ​​모래는 병해충이 거의 퍼지지 않으며, 특히 강모래는 처음 사용할 때 소독할 필요가 없습니다.

 

(4) 자갈

 

자갈은 모래와 같지만 입자 지름이 모래보다 두껍고 2mm보다 큽니다. 기질 표면은 다소 둥글다.

물과 비료를 저장하는 능력은 모래만큼 좋지 않지만 통기성은 모래보다 강합니다. 일부 자갈에는 석회질 물질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러한 자갈은 무토양 배양 기질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5) 세람사이트

 

Ceramsite는 약 800도에서 소성된 셰일 재료로 비교적 균일한 골재 크기, 분홍색 또는 빨간색을 가집니다. 세람사이트의 내부 구조는 느슨하고 기공이 많으며 벌집과 유사하며 부피 밀도가 500kg/m3이고 질감이 가벼우며 물 속에서 수면에 뜰 수 있습니다. 무토양 재배에 좋은 기질입니다.

무토양재배기질로서 세람사이트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① 보수성, 배수성, 통기성이 좋다. 세람사이트의 내부 기공은 물이 없을 때 공기로 채워진다. 물이 충분하면 물의 일부는 흡수되고 기체 공간의 일부는 여전히 유지됩니다. 근계 주위의 수분이 부족할 경우 기공 내의 수분이 세람사이트 표면을 통해 세람사이트 사이의 기공으로 확산되어 근계가 이를 흡수하여 근계 주변의 공기 습도를 유지하게 된다.

 

세람사이트 응집체의 크기는 수분 흡수 및 공기 투과성과 관련이 있으며 뿌리 시스템의 생리학적 요구 사항과도 관련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무토양 재배 기질로 골재가 큰 세람사이트를 사용하면 골재 사이의 공극이 크다. 골재가 작은 세람사이트에 비해 대기습도와 수분함량이 적다. 세람사이트의 크기를 선택함으로써 식물이 필요로 하는 좋은 수질과 통기 조건을 얻을 수 있습니다.

 

② 적당한 비료 보유 능력 많은 양분이 세람사이트 표면에 부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람사이트 내부의 공극으로 들어가 임시 저장됩니다. 세람사이트 표면의 영양분 농도가 감소하면 기공의 영양분이 외부로 이동하여 영양분 수요를 흡수하기 위한 뿌리 시스템의 요구를 충족시킵니다. 세람사이트의 수분 보유 성능과 마찬가지로, 세람사이트의 비료 보유 능력은 다른 기질에 비해 적당한 범위에 있습니다.

 

③화학적으로 안정한 세람사이트의 수소이온농도

 

1~12590나노몰/리터(pH9~4.9)이며 일정량의 양이온치환(60~210mmol/kg)을 가지고 있다. 세람사이트의 출처에 따라 화학적 조성과 물리적 특성이 다르지만(표 4-1, 표 4-2) ​​모두 무토양 재배 기질로 적합합니다.

④ 안전하고 위생적인 ​​세람사이트는 벌레알과 병원균이 거의 번식하지 않습니다. 특유의 냄새가 없고 유해물질을 방출하지 않습니다. 가정집, 음식점 등 건물에 장식되는 화훼의 무토 재배에 적합하다.

 

⑤ 뿌리가 가는 식물의 무토양재배에 부적합

 

매트릭스 세람사이트 골재의 직경은 모래, 펄라이트 등의 직경보다 큽니다. 두꺼운 뿌리 시스템을 가진 식물의 경우 뿌리 시스템 주변의 물과 공기 환경이 매우 적합하지만 진달래와 같이 가느다란 뿌리 시스템을 가진 식물의 경우 큰 ceramsite 사이의 구멍은 뿌리가 자라기 쉽습니다. 따라서 공기 건조는 이러한 유형의 식물을 재배하는 데 사용해서는 안 됩니다.

 

(6) 질석

 

버미큘라이트는 운모와 같은 무기 물질이 800-1000도까지 가열될 때 형성되는 수화된 규산알루미늄마그네슘입니다. 운모와 같은 무기물은 물 분자를 포함하고 있으며, 가열되면 물 분자가 수증기로 팽창하여 단단한 무기물 층을 터뜨리고 작고 다공성인 해면질 핵을 형성합니다. 고온 처리에 의해 팽창된 질석의 부피는 원래의 18-25배이고 부피 밀도는 80 kg/m3로 매우 작고 공극률은 크다. 무토양 배양기질로 사용되는 버미큘라이트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① 강한 수분흡수력, 수분유지력, 비료 질석은 자기 무게의 1.25-8배인 입방미터당 100-650리터의 물을 흡수할 수 있다. 이 책에서 소개하는 무토양재배 기질 중 질석은 수분흡수력이 가장 크고, 양이온 치환능력이 10mmol/kg에 달하며, 물과 비료의 보유력이 강하다.

② 공극률이 크고(95%) 통기성 질석은 수분을 흡수하여 기체 공간을 줄이고 포화수분에 도달한 질석은 통기성이 좋지 않다. 버미큘라이트는 가스 공간이 크고 수분 흡수 능력이 강하기 때문에 특정 꽃과 식물에 적합한 최상의 물-공기 비율을 달성하기 위해 질석의 수분 함량을 인위적으로 조정할 수 있습니다. 버미큘라이트는 대부분의 현화식물에 좋은 무토양 기질입니다.

 

③수소이온농도는 1-100나노몰/리터(pH9-7)로 일정량의 칼륨, 소량의 칼슘, 마그네슘 등의 영양소를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특성은 질석의 화학적 조성에 의해 결정됩니다.

 

질석의 화학적 조성은 (Mg2 plus , Fe2 plus , Fe3 plus )3[(Si, Al)4O10](OH)2·4H2O이다. 버미큘라이트는 수산화물 이온을 포함하고 있어 수소이온의 농도가 100nmol/L 미만(pH7 이상)이지만 매트릭스의 강한 투과성으로 인해 대부분의 꽃 식물의 뿌리는 수소이온의 농도에 의해 조절될 수 있습니다. 영양액에. 좋은 생활환경을 누리세요.

 

④안전하고 위생적인 ​​버미큘라이트를 고온에서 성형하여 멸균처리한 제품입니다. 새로운 버미큘라이트를 사용하면 살균되지 않고 병원성 세균과 곤충 알을 감염시키지 않습니다. 사용된 질석은 고온 멸균하거나 1.5g/L 과망간산칼륨 또는 포르말린(약품 판매점에서 구입 가능)으로 멸균하여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버미큘라이트 자체는 특유의 냄새가 없고 유해가스를 배출하지 않는다.

 

⑤ 질석을 장기간 사용하는 것은 부적합하며 구조가 깨지고 공극률이 감소하며 배수성과 통기성이 저하된다. 따라서 운송 및 사용 중에 큰 압력을 가할 수 없습니다. 일반적으로 질석을 1-2번 사용하면 더 이상 같은 종류의 꽃을 심는 데 사용할 수 없지만 뿌리가 가느다란 꽃 식물은 다시 심어야 합니다.

 

(7) 펄라이트

 

펄라이트는 규산질 화산암으로 형성된 광물로서 진주 모양의 구형 균열에서 이름이 붙여졌습니다. 규산질 화산암의 수분 함량은 약 2~5%입니다. 파쇄하여 약 1000℃로 가열하면 팽창하여 무토양재배용 팽창펄라이트를 형성하며 용적밀도는 80~180kg/m3로 작다. 이 광물은 닫힌 세포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①펄라이트의 특성

 

ㅏ. 통기성이 좋고 수분함량이 적당하다. 펄라이트의 공극률은 약 93%, 공기량은 약 53%, 보수력은 40%이다. 물을 줄 때 대부분의 물은 표면에 머물며 작은 물 장력으로 인해 쉽게 흐릅니다. 따라서 펄라이트는 배수가 용이하고 통기성이 좋습니다.

 

펄라이트(자체무게의 4배)의 흡수율은 질석에 비해 떨어지지만 하층에 물이 있는 경우(침수방지화분 등) 펄라이트는 하층의 수분을 옮길 수 있다. 입자 사이의 물 전도를 통해. 포트 전체에 펄라이트를 끌어들여 적절한 투과성을 유지합니다. 그것의 수분 함량은 식물 뿌리 생명의 요구를 완전히 충족시켰습니다. 따라서 물과 공기의 비율에 대한 엄격한 요구 사항이 있는 일부 꽃을 재배할 때 버미큘라이트보다 펄라이트를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일부 산성을 좋아하는 남부 꽃을 재배할 때 펄라이트는 그 장점을 더 잘 반영할 수 있습니다.

비. 화학적으로 안정한 펄라이트의 수소 이온 농도는 31.63-100nmol/liter(pH7.5-7.0)입니다.

 

펄라이트의 양이온 치환량은 1.5mmol/kg 이하로 영양흡수능이 거의 없다. 펄라이트에 있는 대부분의 영양소는 식물이 흡수하거나 이용할 수 없습니다. 그것의 수소 이온 농도는 질석보다 높기 때문에 남쪽에서 산성을 좋아하는 꽃을 심기에 더 적합한 이유 중 하나입니다.

씨. 무토양 재배 기질로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이탄, 질석 등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관련 혼합 기질은 다음 장에서 소개합니다.

 

② 펄라이트 사용 시 주의해야 할 문제점

 

첫째, 펄라이트를 양액에 부은 후 빛에 노출된 표면에 녹조류가 자라기 쉽다. 녹조류의 성장을 제어하기 위해 표면의 펄라이트를 교체하거나 자주 뒤집거나 빛을 피할 수 있습니다.

둘째, 펄라이트 분진은 목(목)에 자극이 심하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먼지가 날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하기 전에 물을 뿌려주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셋째, 펄라이트는 비중이 물보다 가벼워 비가 많이 오면 수면에 뜬다. 결과적으로 펄라이트와 뿌리 시스템 사이의 접촉이 안정적이지 않고 뿌리가 손상되기 쉽고 식물이 도복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홍수 통제 및 침수 계획은 사전에 준비되어야 합니다.

모든 식물 뿌리는 펄라이트, 특히 산을 좋아하는 가는 섬유질 뿌리 꽃,

다른 기질에서는 생육이 쉽지 않으나 펄라이트에서는 튼실하게 생육한다.

 

(8) 암면

 

암면은 60%의 diabase, 20%의 석회암 및 20%의 코크스의 혼합물로 만들어진 섬유질 광물입니다. 직경 0.005mm의 필라멘트로 만든 다음 벌크 밀도가 80-100kg/m3인 시트로 압착한 다음 약 200도까지 냉각할 때 표면 장력을 줄이기 위해 페놀 수지를 추가합니다. 물을 머금게 하십시오.

 

암면은 1969년 덴마크의 Hornum에 의해 무토양 재배에 처음 사용되었습니다. 곧 네덜란드의 관심을 끌었고 현재 네덜란드에서 무토양 채소 재배의 80%가 암면을 기질로 사용합니다. 세계의 무토양 경작에서는 암면이 차지하는 면적이 1위입니다.

①무목재재배 기질로서의 암면의 특성

 

ㅏ. 저렴한 가격, 사용하기 쉽고 안전하고 위생적입니다.

꽃의 주된 이유. 암면 재배에 사용되는 시설 비용도 낮습니다. 암면은 고온에서 처리되었습니다. 새 암면을 사용할 때 살균할 필요가 없습니다. 냄비를 바꿀 때 원래의 작은 암면 블록을 큰 암면 블록에 넣으면 매우 편리합니다.

비. 다양한 용도 암면 기질은 다양한 채소와 꽃의 무토양 재배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영양막 기술

암면은 심층 액체 흐름 기술, 점적 관개 및 다층 입체 재배와 같은 기술에서 기질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두꺼운 뿌리 계통이든 가느 다란 뿌리 계통이든 암면에서 잘 자랄 수 있습니다. 특히 기질을 자주 바꿀 필요가 없는 꽃의 경우 매우 적합합니다.

씨. 물-공기 비율은 많은 식물에 적합합니다.

면은 최대 96%의 큰 모공과 강한 수분 흡수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충분히 두꺼운 암면 층에서 암면의 수분 함량은 위에서 아래로 점차 증가합니다. 가스는 위에서 아래로 점차 감소하므로 암면 블록의 수성 가스 비율은 위에서 아래로 기울기 변화를 형성합니다. 암면 블록에 심은 식물의 뿌리 생장은 가장 적합한 뿌리 환경(즉, 물과 공기의 비율이 적합함)에 있는 경향이 있습니다. 암면 블록의 수분과 공기의 수직 분포는 표 4-3를 참조하십시오.

 

② 암면 사용 시 주의해야 할 문제점

 

첫째, 새로운 미사용 암면의 수소 이온 농도가 상대적으로 낮다. 일반적으로 수소 이온 농도는 100nmol/L 미만(pH 7 이상)입니다. 사용 전 소량의 산을 첨가하여 관개하면 1~2일 후에 수소이온농도가 증가합니다.

 

둘째, 암면은 분해되지 않으며 사용 후 처리가 아직 해결되지 않았습니다. 일반적인 방법은 사용된 암면을 토양 개량제로 사용하는 것이며 일부는 암면 생산의 원료로 재활용됩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아직 연구 중입니다.

무토양 재배에서 암면은 여전히 ​​옥상 정원의 기질로 매우 적합하며, 특히 다섯 바늘 소나무, podocarpus 및 사이프러스와 같은 상록 다년생 수종을 식재하는 데 적합합니다. 점적 관개 시스템을 갖춘 조경 설계에서 암면은 장기간 사용할 수 있지만 교체 후 오래된 암면을 처리하기 어렵기 때문에 빠르게 자라는 풀이나 2년생 풀꽃을 심는 데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9) 실리콘

 

무토양재배의 기질로 사용되는 실리카겔은 실리카겔G와 실리카겔B 두 종류가 있다. 물을 흡수한 후. 수분흡수력과 영양흡착력은 실리카겔B에 비해 떨어진다. 실리카겔B는 소성과정에서 팽창하여 구조에 더 많은 기공을 갖고 수분흡수 및 영양저장능력이 실리카겔보다 2배 이상 높다. G.

그 속성은 모래보다 낫습니다.

실리카겔은 결정성 입자이기 때문에 식물 뿌리의 공간적 분포를 명확히 볼 수 있어 무토양 재배의 재미를 더한다.

무토양 재배에 적합하지 않은 진달래와 같이 뿌리가 가느다란 식물을 제외하고는 일부 공중 또는 다육 뿌리 꽃 식물과 같이 더 두껍고 눈에 보이는 뿌리 시스템의 대부분이 적합합니다.

 

(10) 이온교환수지

 

이온 교환 수지는 이온 토양이라고도 합니다. 에폭시 수지와 같은 양이온 또는 음이온 흡착제를 다른 비율로 혼합하여 식물이 필요로 하는 양분을 혼합하여 얻은 일종의 무토양 재배 기질입니다. 이 기질은 다른 기질과 동일하며 안전하고 위생적이며 무독성, 무미이며 수지에 흡착된 이온은 식물이 흡수할 수 있도록 천천히 방출되며 수지에 흡착된 이온의 농도가 높더라도 식물에 해를 끼칩니다.

이온 교환 수지의 단점은 비싸고 재사용할 때 재생해야 한다는 점입니다.